|
|
|
 |
EMF관련 자료검색 |
|
|
|
□ 극초단파 휴대전화 전자파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ffect of Ultra High Frequency Mobile Phone Radiation on Human Health.)
2016.07.07(출처 : EMF Portal) 키워드: ICNIRP, Mobile Phone, Mutation, Radiobiological Effects, Radiofrequency
o 연구의 개요
- 이 논문은 전자 기기의 확산 추세에 따라 전자파의 일반인 및 직업인에 대한 노출이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과,
- 특히 휴대전화 전자파에 의한 변이, 성(性)적 외상, 남성의 생식 세포 불임의 위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음
o 방법
- 섬광 검출기를 사용하여 상이한 주파수에서 고전압 전원 등의 무선 주파수 장치 방출량을 측정하였음
- 고전압 전원 공급기(HVPS)는 단일 광자 단층 촬영(SPECT)* 시스템으로 구축되었음
* 단일 광자 단층 촬영(SPECT) : 뇌 관류, 심장 관류, 뼈 대사 등 생화학적, 기능적 상태를 볼 수 있는 방사성 의약품을 환자에게 투여한 후 이들의 분포를 영상화함으로써 생체의 생화학적 변화나 기능상의 문제를 평가하는 영상 진단법
- 방사선량 측정을 위해 감마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는 ALNOR사의 신틸레이터를 사용하였음
- 시뮬레이션 수행에는 MATLAB* 소프트웨어를, 시뮬레이션 확인에는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 MATLAB : 수치 해석 및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하는 공학용 소프트웨어
o 연구 결과
- ICNIRP 보고서를 통해 인체의 각 기관에 전자 장치의 빔(beam)과 전자기 파장이 발생할 위험을 조사하였음
- 그 결과 15분에 걸친 최대 선량은 0.31μSV/h(알루미늄 쉴드)를 초과하지 않는 한 HVPS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방사선의 다른 공급원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연속 작업 시간은 10시간 이상이어야 함
-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보안 모듈 작동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이 보고되었음. 최대 침투 깊이(δ)와 생체 조직의 전자파흡수율(SAR)에 대한 RF 입력 신호는 각 조직으로부터 얻어졌음
*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 : 필름에 조사된 방사선량(또는 상대 노출량)의 대수 logE와 현상 후에 얻어진 사진 농도D와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o 결론
- ICNIRP 보고서에 의하면 하루에 50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뇌의 포도당 연소에 의한 조기 치매 또는 다른 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29849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