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ELECTROMAGNETIC WAVE
기준,정책,동향
전자파노출량 평가
역학연구
자원자연구
동물실험
세포실험
전자파응용
EMF 이슈
기타
EMF소식
워크샵/세미나 소식
전자파정책
전자파정책
전자파 관련법률
WHO
WHO News
WHO EMF Fact Sheet
WHO EMF 프로젝트
WHO Database
연구동향 및 EMP관련사이트
분야별연구동향
국내연구동향
해외연구동향
EMF관련사이트
우리주변의 기지국
기지국 전자파란?
기지국전자파 WHO Fact Sheet
기지국 전자파 환경측정
기지국 전자파 Database
정보마당
기준,정책,동향
전자파노출량 평가
역학연구
자원자연구
동물실험
세포실험
전자파응용
EMF 이슈
기타
기술포럼
전자파의 발생&탐지
전자파의 흡수율
기타
/
정보마당
정보마당
이름
관리자
조회수
1626
제목
EMF Weekly Brief IFRE 35호(2013.10.7)
첨부파일
20131007 EMF Weekly Brief_IFRE_35호.hwp
□ 스웨덴 하델 연구팀은 휴대전화의 종양 발생 위험률을 재차 확인함
2013.9.27 (출처 : MICROWAVE NEWS)
키워드 : brain tumors, brain cell phones, acoustic neuroma, glioma, meningioma
o 스웨덴 오레브로 대학의 하델(Lennart Hardell)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휴대전화가 종양 발병률을 높인다는 과거의 연구결과를 재차 확인함
- 무선전화에 관한 오랜 연구는 휴대전화의 사용이 뇌수막종(양성 뇌종양의 한 종류)을 제외한 뇌종양과 청신경종의 발생을 높인다고 함
- 최근 2007-2009년까지의 새로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델박사와 연구팀이 과거의 연구결과를 재확인함
- 일반적으로 그들은 휴대전화를 더 오래 사용할수록 더 큰 뇌종양과 청신경종의 발생위험을 가진다고 보고함
- 연구결과는 아래 3개의 보고서로 나타남
o 악성 뇌종양보고서
- 연구의 결과는 과거연구에서의 아날로그 휴대전화에 의한 발암현상 효과와 디지털 타입의 휴대전화에 의한 발암효과가 일치한다고 밝힘
o 청신경종보고서
- 휴대전화의 첫 사용이후로 시간에 따라 위험은 증가함
- 모바일기기와 휴대전화 모두 가장 높은 발암 위험률을 나타냄
- 종양의 부피는 휴대전화의 누적사용시간 100시간 단위로 증가함
o 뇌수막종보고서
- 이 연구의 결과는 신경교종 및 청신경종에 대한 위험의 증가에 대한 과거의 연구결과를 다시 강화함
- 단, 이 뇌수막종 연구에 대하여 과거와 동일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결과가 예상되었다는 시스템적인 편견은 있음
- 뇌수막종에 대한 위험 증가의 표시는 가장 높은 휴대전화 누적 사용량을 나타낸 그룹에서 관찰됨
- 하지만 대기시간 등이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의 증가로 뒷받침하기에는 어려움
출처 : http://microwavenews.com/short-takes-archive/hardell-reaffirms-phone-tumor-risks
FAMILY SITE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
한국전자파학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와 전자계 정보마당
극저주파 전자계 위해성 평가
서울시 용산구 새창로 217 토투밸리 706호 / TEL: 02-337-9666 / FAX : 02-325-4753
Copyright ⓒ 2005 EMF.or.kr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