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ELECTROMAGNETIC WAVE
 
 
 
 
   
기타 / 정보마당
정보마당
 
이름 관리자 조회수 79
제목 EMF Weekly Brief IFRE 288호(2020.12.25)
첨부파일 20201225 EMF Weekly Brief IFRE 288호.pdf
전자기파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건강 영향

Health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on children

출처: EMF-Portal
저자: Jin-Hwa Moon

□ 개요

o 본 연구는 “EMF-Portal”에 게재되었음

□ 배경

o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다양한 인공적인 전자기장에 노출되어 생활하고 있음

o 발달중인 아동의 뇌는 전자기파에 취약하기 때문에, EMF의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 하고 있음
o EMF 노출은 두 가지 범주로 나뉘는데, 고전압 송전선과 배전선을 포함하는 극저주파(ELF, 3-3,000Hz)와 휴대전화, 스마트 기기, 기지국, WiFi 및 5G 등에서 나오는 무선주파수(RF30kHz~300GHz)가 있음

o 인간에 대한 EMF의 생물학적 영향은 자극작용, 열적작용, 비열적작용 등이 포함되며, EMF 와 관련된 다양한 인체 영향의 문제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느냐 하는 것임

o 인간에 대한 발암 위험에 대한 국제암연구소(IARC)의 평가에 따르면 ELF와 RF는 인체발암 물질 2B 등급으로 분류하였음

o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의 EMF에 대한 관점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 이 문서는 인간, 특히 어린이에 대한 EMF 노출에 대한 현재 지식을 검토한 것임

o EMF 노출원, 생물학적 효과, 발암성에 대한 현재의 WHO와 IARC 의견, 그리고 EMF 노출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잘 통제된 어린이 EMF 실험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객관적인 해석이 요구됨

o 현재까지는 EMF의 잠재적 건강 영향이 확인될 때까지 어린이에게는 예방적 접근법이 권장 되고 있음

□ EMF 노출 원인

o EMF에는 두 가지 주요 범주가 있음: 극저주파(ELF) 및 무선주파수(RF)

o ELF는 전선이나 송전탑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문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조사되어 왔음

o RF는 휴대전화와 스마트기기 및 최근 5세대 이동통신(5G) 등을 통하여 발생하고 있음

o RF가 인간에 미치는 영향은 ELF의 영향보다 덜 분명하고 연구하기가 어려움

o 국내에서는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거나 신체에서 멀리 떨어져 사용하는 등 전자파 노출을 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조치가 권고되고 있음

o 어린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일 EMF 노출의 정확한 양과 EMF 노출의 영향이 성인과 유사한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음

o 발달하는 어린이의 신경계는 성인보다 전도성이 높고 전자기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다른 기준이 필요함

o 최근 몇 년 동안 소아과 의사들은 어린이들의 전자기기의 사용과 EMF 노출의 위험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질문을 받고 있음

o EMF는 매일 노출되는 대부분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300GHz 미만의 파장을 나타냄

o 가장 낮은 주파수(3𔃁,000Hz)는 ELF-EMF라고하며 높은 주파수(30kHz ~ 300GHz)는 RF-EMF라고 함

o 한국에서는 전력이 60Hz로 작동함. 신체에 가까운 기기 (예 : 헤어 드라이어, 비데, 마사지기 및 전기 담요)를 사용하면 더 많은 EMF가 흡수됨

o 일반적인 권장 사항은 전기 기구는 최소 30cm 떨어져 사용하고, 휴대전화는 빠르게 움직이는 지하철이나 열차에서 사용하거나 벨소리가 울리기 전에 기지국을 찾을 때 더 많은 전자 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EMF의 생물학적 영향

o EMF가 인체에 미치는 주된 영향은 자극작용, 열작용 및 비열작용이 있음

o 자극작용은 높은 EMF에서 신경과 근육을 포함하며 의료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자극 수준에서 전기 충격을 유발할 수 있음

o 열적작용은 체온의 증가를 수반하는 데, 휴대폰이나 노트북 사용 중 귀나 몸의 뜨거운 감각이 그 사례임

o 비열작용은 장기간의 노출에서 비롯되며 이른바 전자파과민증후군 또는 신경 발달 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비열작용에 대한 효과는 잘 조사되지 않은 분야임

o EMF 노출에 따른 인체 영향은 주파수 및 강도에 따라 다르며, 300GHz 미만의 주파수의 경우, 공공 및 직업 근로자에 대한 인체보호기준이 잘 확립되어 있음

o 한국에서는 공공 및 민간 기관을 위한 많은 웹 사이트에서 대중의 인식과 EMF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

o 반면 일부 개인 블로그와 웹사이트들은 사용자에게 잘못된 "과학적으로 불합리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음

o 한국에서는 EMF 안전에 관한 몇몇 공공 웹사이트들이 WHO EMF의 의견을 종종 인용함

□ ELF-EMF와 발암성 관계

o WHO는 1996년 EMF 관련 기술의 잠재적 건강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제 EMF 프로젝트 태스크 그룹을 조직하였음

o 2007년 결과 자료에서 WHO는 일반 대중이 일반적으로 접하는 수준에서 ELF 전기장과 관련된 실질적인 건강 문제는 없다고 결론지었음
o 태스크 그룹은 잠재적 선택 편향과 같은 방법론적 문제로 인해 발암성의 역학 증거가 약하 다고 논평을 냄

o IARC의 2002년 발표는 ELF 전자장 및 자기장과 소아암 및 성인암에 대한 여러 과학적 연구를 평가했음

o IARC는 ELF 자기장이 인간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으며 소아 백혈병과 높은 자기장 사이의 연관성이 우연에 의한 것 같지 않다고 결론지었음

o ELF 자기장과는 대조적으로 ELF 전기장과 백혈병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가 부적절했 으며 다른 소아 뇌종양 또는 암과 ELF 간의 연관성이 일치하지 않았음

o WHO와 IARC 사이의 다른 견해는 각 구성원의 차이점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음

□ RF-EMF와 발암성 관계

o 성인 뇌종양 위험과 휴대전화 사용 사이의 연관성을 결정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환자-대조군 연구(INTERPHONE 연구, 2000)는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뇌종양 위험의 전반적인 증가를 보고하지 않았음

o 2013년, IARC는 RF-EMF가 인간에게 미치는 발암성 위험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발간함

o 2014년, 세계보건기구는 휴대전화 EMF와 공중보건에 관한 자료표를 발간하였음

o 세계보건기구(WHO)는 휴대전화 사용이 사람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한 국제 암연구소(IARC) 자료를 참조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편향되고 오류가 있어 제한적인 결론이라는 논평을 반복함

□ ELF와 RF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o 고전압 전원 라인의 ELF는 전자계 발생원으로부터 가까이 거주하는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낮은 수준의 배전선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o WHO는 극소수의 연구들이 이 주제를 평가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EMF에 더 취약하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고 결론 내렸음

o 세계보건기구는 개인 EMF 노출 감소, 학교, 유치원 및 어린이가 하루 중 상당 부분을 머무는 장소에서의 전자파 노출 최소화 등과 같은 일반적인 조치를 권고했음

o RF 전자파의 경우, 어린이들이 휴대전화에 광범위하게 노출된 사실로 인해 지난 20년 동안 RF에 취약한 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음

o 한국의 연구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백혈병 환자 1,900명과 뇌종양 환자 956명을 대상 으로 실시되었음

o 이 연구 결과는 AM 송신기로부터 2km 이내에 사는 그룹이 20km 이상 사는 집단보다 2.15배 더 높은 백혈병 발병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음

o 2000년 영국 휴대전화 전문가 그룹의 "스튜어트 보고서"는 어린이들이 다른 어떤 연령대보다 EMF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발표했음

o 성인의 두개골 두께는 약 2mm이나 5세 어린이의 두개골 두께는 약 0.5mm~1mm이므로 전자파 방사 투과율은 성인보다 아동에서 더 큼

o 어린이의 머리 지름이 작아질수록 RF의 가장 민감한 부분인 에너지를 흡수하는 "핫 스팟" 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

□ 어린이를 위한 예방 원칙

o 어린이는 전자기기, 고전압 송전선, 휴대전화, WiFi 등에 의해 EMF에 노출될 수 있음

□ 결론

o 어린이들의 신경계는 어른들의 신경계보다 전자파의 영향에 더 취약하고, 신경계는 발달 과정에 있으며, 전도성은 성인보다 높은 수분과 상징적인 함량 때문에 더 높고 어린이의 머리는 성인보다 많은 RF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음

o 어린이 건강에 대한 EMF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확립되지 않았지만, 어린이는 전자파에 대한 사전주의원칙을 따라야 하며 어린이들에게 EMF 노출을 최소화시켜야 함

o IARC에 따라 EMF가 발암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거나 편향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EMF 사용에 대한 안전 정책 수립 시 임상의사의 의견이 업계 일반적인 의견보다 더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임
 
 
   
 
 
서울시 용산구 새창로 217 토투밸리 706호 / TEL: 02-337-9666 / FAX : 02-325-4753
Copyright ⓒ 2005 EMF.or.kr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메일